치료 방법과 최신 치료 트렌드
말초동맥질환은 진행성 질환이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체계적으로 치료하면 혈류를 회복하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치료의 목표는 단순히 통증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혈관 건강을 회복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의학계는 생활습관 교정부터 최첨단 시술·수술까지 다양한 방법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말초동맥질환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과 최신 치료 트렌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생활습관 교정
⓵ 금연
- 흡연은 혈관 수축과 내피 손상을 가속화함
- 금연 후 1년만 지나도 말초혈류가 눈에 띄게 개선됨
⓶ 규칙적인 운동
- 걷기 훈련(30분~1시간, 주 35회)이 대표적
- 운동은 모세혈관 발달과 혈류 우회 경로(측부순환) 형성에 도움
⓷ 식이 조절
- 포화지방 및 트랜스지방 줄이고, 불포화지방과 식이섬유 섭취
- 염분 섭취 제한으로 혈압 조절
2. 약물 치료
⓵ 항혈소판제
-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등
- 혈전 형성 억제, 심뇌혈관질환 동반 위험 감소
⓶ 지질강하제(Statin)
- LDL 콜레스테롤 감소로 동맥경화 진행을 억제함
- 항염 작용으로 혈관 내 안정성을 강화함
⓷ 혈관 확장제
- 실로스타졸, 나프트리돈 등
- 간헐적 파행 증상 완화, 보행 거리 증가
⓸ 항응고제
- 혈전성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사용
- 와파린, DOAC(직접 경구 항응고제) 등
3. 비수술적 시술
⓵ 경피적 혈관확장술(PTA, Balloon Angioplasty)
- 가느다란 풍선을 혈관 내에서 팽창시켜 좁아진 부위 확장
- 회복이 빠르고 전신마취 필요 없음
⓶ 스텐트 삽입술
- 금속망 구조물로 혈관 확장 상태 유지
- 재협착 위험이 있는 부위에서 사용
⓷ 약물방출 스텐트(Drug-Eluting Stent)
- 스텐트 표면에 약물이 코팅되어 있어 재협착률 감소
- 관상동맥뿐 아니라 말초혈관에도 적용 확대 중
4. 수술적 치료
⓵ 우회술(Bypass Surgery)
- 인조혈관이나 자가정맥으로 막힌 부위를 우회하는 통로 생성
- 장기간 유지 효과가 크지만 수술 부담이 큼
⓶ 혈전제거술(Thrombectomy)
- 급성 폐색 시 혈전을 직접 제거함
- 혈류 회복 속도가 빠름
5. 최신 치료 트렌드
⓵ 하이브리드 수술
- 개방수술과 경피 시술을 결합
- 복잡한 병변에서도 최소 침습으로 치료 가능
⓶ 약물방출 풍선(Drug-Coated Balloon, DCB)
- 풍선 확장 시 약물을 혈관벽에 전달해 재협착 억제
- 스텐트 삽입이 어려운 부위에서 유용
⓷ 줄기세포 치료
- 환자 골수나 지방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주입해 새로운 혈관 형성 촉진
- 아직 연구 단계지만 보행 거리 개선 효과 보고
⓸ 원격 모니터링
-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걸음 수, 맥박, 혈류 변화를 실시간 추적
- 환자 맞춤형 운동·약물 조정 가능
6. 치료 선택 시 고려 사항
▶협착 부위 위치와 길이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와 동반질환
▶재협착 가능성과 생활 패턴
▶시술·수술 후 재활 및 관리 의지
**요약**
치료는 생활습관 개선 → 약물 → 시술, 수술 순서로 접근
최신 기술은 재협착 감소와 회복 속도 향상에 집중
조기 치료와 꾸준한 관리가 절단 위험을 크게 줄임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초동맥질환의 예방과 재발 방지 전략 (6) | 2025.08.17 |
---|---|
말초동맥질환의 진단 방법 (8) | 2025.08.15 |
말초동맥질환의 초기 증상과 진행 단계 (3) | 2025.08.14 |
말초동맥질환의 원인과 위험 요인 (6) | 2025.08.13 |
말초동맥질환의 개요와 중요성 (5) | 2025.08.12 |
심근경색 후유증, 회복은 얼마나 걸릴까? (8) | 2025.08.11 |
심근경색과 스트레스의 연관성 (5) | 2025.08.10 |
심근경색 재발 방지를 위한 생활 습관 리셋법 (8)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