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술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적당히 마시면 오히려 심장 건강에 좋아.”
특히 와인에 관한 속설은 더욱 유명합니다. 와인 한두 잔은 심장에 이롭다는 말은 거의 진리처럼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의학적 연구 결과는 이 믿음을 점점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알코올은 실제로 심장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며, 안전한 음주의 기준은 사실상 없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는바, 아래와 같은 내용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술이 심장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
- 와인은 심장에 좋다?
- 최신 연구가 말하는 결론
- 심장을 지키는 더 나은 방법
술이 심장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
① 혈압 상승
술을 마시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일시적으로 혈관이 확장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곧 혈압이 올라갑니다.
문제는 이 현상이 반복되면 만성적인 고혈압으로 이어진다는 점입니다.
고혈압은 협심증, 심근경색 같은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입니다.
② 부정맥 유발
많은 사람들이 술을 많이 마신 다음날 두근거림이나 불규칙한 맥박을 경험합니다.
이를 의학적으로 Holiday Heart Syndrome(휴일 심장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반복되면 심방세동 같은 심각한 부정맥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은 혈액이 심장 안에 고여 혈전을 만들고, 이는 뇌졸중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③ 심근 손상
지속적인 음주는 심장 근육 자체를 약하게 만듭니다.
이를 알코올성 심근병증이라고 부르며, 심장이 늘어나고 수축력이 떨어져 결국 심부전으로 이어집니다.
한번 손상된 심근은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 음주는 매우 치명적입니다.
④ 혈중 지질 이상
술은 혈액 속 중성지방 수치를 올리고, 혈관 벽에 기름때처럼 쌓이는 동맥경화를 촉진합니다.
결국 혈관이 좁아지고 막히면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같은 치명적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와인은 심장에 좋다? 진실은 다르다
와인이 심장에 좋다는 속설의 근거는 레드와인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 특히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입니다.
이 성분은 항산화 효과가 있어 혈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이 성분은 와인이 아니라도 충분히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포도, 블루베리, 땅콩, 다크초콜릿 같은 식품에 같은 물질이 들어 있습니다.
즉, 심장 건강을 위해 굳이 와인을 마실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알코올로 인한 해로움이 이로운 효과를 훨씬 능가합니다.
와인이 심장에 좋다는 말은 알코올 때문이 아니라 포도 껍질 속 영양소 때문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최신 연구가 말하는 결론
최근 대규모 연구는 명확하게 말합니다.
2018년 Lancet에 발표된 분석: “건강에 안전한 음주의 수준은 없다.”
2022년 미국심장학회(AHA) 보고: “심혈관 건강을 위해 알코올을 권장할 근거는 없다.”
즉, 심장질환 예방을 위해 술을 마셔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오히려 마시지 않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심장을 지키는 더 나은 방법
심장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술잔을 내려놓는 것입니다.
대신 실천할 수 있는 건강한 습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규칙적인 운동: 가벼운 유산소 운동만으로도 심혈관 건강이 크게 향상됩니다.
▶지중해식 식단: 채소, 과일, 생선, 견과류 위주의 식단은 심장에 좋은 대표적인 식습관입니다.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심장은 휴식이 필요한 장기이므로 생활 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포도, 베리류, 견과류 섭취: 와인 대신 이들 식품에서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결론
‘적당한 음주는 심장에 좋다’는 말은 더 이상 과학적 근거가 부족합니다. 술은 혈압을 높이고, 심장 리듬을 어지럽히며, 장기적으로 심근을 약화시키고 동맥경화를 촉진합니다.
와인의 이로운 성분은 다른 식품에서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알코올은 오히려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키울 뿐입니다.
심장을 지키고 싶다면 술잔 대신 운동화와 채소 한 접시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의 길입니다.
'술 담배와 건강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과 뇌졸중>-- 적당한 음주도 안전하지 않은 이유 (0) | 2025.09.03 |
---|---|
뇌에서 장까지, 술이 남기는 흔적 (0) | 2025.09.01 |